Faster Exponential Algorithm for Permutation Pattern Matching
Introduction
“스택 수열”이라는 간단한 문제를 생각해 봅시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874
이 문제는 스택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n] := {1, \cdots, n}$의 순열 $\sigma _ {1}, \cdots, \sigma _ {n}$이 주어졌을 때, $1, \cdots, n$을 순서대로 스택에 push(+)했다가 pop(-)하여 $\sigma _ {1}, \cdots, \sigma _ {n}$을 만들 수 있는지를 판별하는 문제입니다.
반대로 $\sigma _ {1}, \cdots, \sigma _ {n}$을 push-pop하여 $1, \cdots, n$으로 정렬할 수 있는지를 묻기도 하는데요, 이 경우에 $\sigma$를 stack-sortable permutation이라고 합니다. “스택 수열” 문제를 푸는 과정을 거꾸로 시뮬레이션한다고 생각하면, stack-sortable permutation과 “스택 수열” 문제의 답이 될 수 있는 순열 사이에 일대일대응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stack-sortable permutation을 판별하는 문제는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지만, 길이가 $n$인 stack-sortable permutation의 개수를 세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까요? 답은 Yes입니다.
Proposition 1. 다음은 동치이다.
- $\sigma$는 stack-sortable permutation이다.
- $\sigma$는 “$231$-avoiding”이다. 다시 말해, $a < b < c$이고 $\sigma _ {c} < \sigma _ {a} < \sigma _ {b}$인 $a, b, c$는 존재하지 않는다.
pf of Proposition 1. 먼저 $231$-avoiding이 아니라면 stack-sortable하지 않음을 보입니다. $\sigma _ {b}$와 $\sigma _ {c}$는 뒤의 $\sigma _ {a}$ 때문에 무조건 스택에 들어가야 하는데, $\sigma _ {c}$가 $\sigma _ {b}$보다 먼저 꺼내질 수밖에 없으므로 sortable하지 않습니다.
만약 $\sigma$가 $231$-avoiding이라면, $\sigma$의 임의의 부분 수열(subsequence)도 $231$-avoiding입니다. $\sigma _ {i} = 1$이라고 해봅시다. (즉, $i = \sigma^{-1}(i)$) 그렇다면 $231$-avoiding이기 때문에 $\sigma _ {1}, \cdots, \sigma _ {i-1}$은 감소수열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들 모두는 처음에 스택으로 들어가야 하고, $\sigma _ {i} = 1$이 스택에 들어가자마자 나오면 결국 $\sigma _ {1}, \cdots, \sigma _ {i-1}, \sigma _ {i+1}, \cdots, \sigma _ {n}$이라는 ${2, \cdots, n}$의 순열을 정렬하는 중간 과정이 남고, 이 수열도 $231$-avoiding이기 때문에 $n$에 대한 귀납 가정에 의해 마저 정렬해줄 수 있습니다. $\square$
Corollary 2. 다음은 동치이다.
- $\sigma$는 “스택 수열” 문제의 답이다.
- $\sigma$는 “$312$-avoiding”이다. 다시 말해, $a < b < c$이고 $\sigma _ {b} < \sigma _ {c} < \sigma _ {a}$인 $a, b, c$는 존재하지 않는다.
Proposition 1을 알고 있으면, 잘 알려진 permutation diagram을 이용하여 $231$-avoiding permutation의 개수가 Catalan number $C _ {n} = \frac{1}{n+1}\binom{2n}{n}$과 같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0, 0)$부터 $(n, n)$까지 있는 격자에 $(i-1, \sigma _ {i})$ 위치에 점을 찍어 보면, $(0, 0$)에서 $(n, n)$까지 위 / 오른쪽 으로만 가는 northeast-only path 중에서 이 점을 정확히 감싸는 경로와, Catalan number의 정의 중 하나인 $(0, 0)$에서 $(n, n)$까지 $y = x$ 선을 침범하지 않고 넘어가는 경로가 일대일대응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Exercise. 사실 “스택 수열”의 아이디어를 활용해서도 개수를 셀 수 있습니다. “스택 수열”에서 스택에 들어가는 연산을 +
, 스택에서 뽑는 연산을 -
라고 할 때, 모든 prefix에서 +
개수가 -
개수보다 많거나 같음을 보이세요. 이러한 binary string을 Dyck word라고 합니다. Dyck word와 $231$-avoiding permutation이 일대일대응됨을 보이고, Dyck word의 개수가 $C _ {n} = \frac{1}{n+1}\binom{2n}{n}$임을 보이세요.
General question: Permutation Pattern
보다 일반적으로, 길이 $k$인 순열 (pattern) $\pi$가 길이 $n$인 순열(text) $\sigma$에서 나타난다는 것은 어떤 $1 \le i _ {1} < \cdots < i _ {k} \le n$이 존재하여 $\sigma(i _ 1), \cdots, \sigma(i _ k)$ 중에서
- $\sigma(i _ {1})$이 $\pi(1)$번째로 작음
- …
- $\sigma(i _ k)$가 $\pi(k)$번째로 작음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말합니다. 엄밀하게 쓰면, increasing function $g : [k] \to [n]$이 존재하여 $\sigma \circ g \circ \pi^{-1} : [k] \to [n]$이 증가함수가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때 $\pi$를 $\sigma$의 pattern이라고 하고, $\pi \le \sigma$로도 씁니다. 당연히 모든 순열들의 집합에 주어진 “pattern order” $\le$는 poset의 조건을 만족합니다.
순열 $\sigma$에 pattern $\pi$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즉, 조건을 만족하는 increasing function $g$가 없다면) $\sigma$를 $\pi$-avoiding permutation이라고 합니다. $\pi = 231$에 대입해서 생각해보면 이전의 정의에 잘 맞아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우리는 앞 단원에서 본 것처럼, 보다 일반적으로 어떤 순열이 $\pi$-avoiding permutation인지 판별하는 문제, 혹은 $\pi$-avoiding permutation의 개수를 세는 문제에 관심을 가져보기로 합니다.
$\pi = 231$일 때 값이 예쁘게 나오는 건 좋은데, 굳이 그렇다고 일반적인 $\pi$-avoiding permutation의 개수를 알아서 좋은 점이 무엇일까요? 이 장의 지면을 조금 나누어 그에 대한 motivation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Definition. (Permutation class) 길이가 가변인 순열들의 모임 $C$가 “hereditary property”를 만족한다고 하자. 즉, $\pi \in C$이면 모든 $\pi$의 pattern $\tau$에 대해 $\tau \in C$이다. 이 때 $C$를 permutation class라고 한다.
Permutation class는 수학에 있어 상당히 기본적인 성질인 “hereditary class”로 정의되었습니다. 따라서 stack-sortability와 같이 우리가 궁금해하는 많은 성질이 이 형태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고, permutation class를 이해하면 우리가 궁금해하는 수많은 성질에 대한 해답을 가져다줄 가능성이 큽니다.
동시에, 다음의 정리가 알려져 있습니다.
Theorem. 모든 permutation class $C$는 “avoiding set”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어떤 pattern들의 minimal set $\Pi$가 존재하여 $C = {\sigma : \forall \pi \in \Pi \; \sigma \text{ is }\pi -\text{avoiding}}$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lvert \Pi \rvert = 1$인 경우, $C$를 특별히 principal permutation class라고 부릅니다. 결국 avoiding set이 곧 permutation class이고, 가장 간단한 경우인 principal permutation class에 관심이 가는 게 당연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incipal permutation class, 즉 $\pi$-avoiding set의 “크기”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았습니다. 길이가 $n$인 순열 중 $\pi$-avoiding permutation의 개수는 얼마나 될까요? 이에 대해서 유명한 추측이 있었습니다.
Theorem. (Stanley-Wilf Conjecture, Proved by Marcus & Tardos 2004).
Permutation class의 크기는 singly exponential하다. 즉, 길이가 $n$인 순열 중 $\pi$-avoiding permutation의 개수는 어떤 $C$에 대해 $O(C^n)$꼴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Permutation Pattern Matching과 관련된 computational task에 큰 도움이 되곤 합니다. 다음 단원에서는 수많은 computational task에 대해 알아보고, 이 중에서 우리가 오늘 다룰 Gawrychowski (2022)을 소개합니다.
Computational tasks on permutation patterns
Detection
“Given $\pi$ and $\sigma$, determine if $\pi \le \sigma$”
안타깝게도 이 문제는 NP-complete입니다. (Bose 1998) 하지만 $k$를 고정했을 때는 $n$에 대해 Linear-time에 풀리는 FPT (Fixed-Parameter Tractible) 문제입니다. 가장 최신의 결과는 Fox (2013)의 $2^{O(k^2)} \cdot n$ 시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사실에는 Stanley-Wilf Conjecture의 결과가 필요하며, 그 내용이 꽤 복잡한 편입니다.
Counting
“Given $\pi$ and $\sigma$, count the number of $\pi$-occurrences on $\sigma$”. 다시 말해, $\sigma \circ g \circ \pi^{-1}$이 증가함수가 되는 증가함수 $g$의 개수를 묻는 문제입니다.
- $\pi$가 작은 경우, 이러한 $g$의 개수를 조합하여 만든 고전적인 통계량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lvert \pi \rvert = k$인 경우를 $\sigma$의 $k$-profile들이라고 하며, Kendall’s tau correlation, Spearman’s $\rho$ function, Fisher-Lee rotation invariant measure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 $\pi$의 길이가 $k = 4$인 경우 잘 알려진 자료구조 문제가 됩니다. 가장 자명한 알고리즘은 $O(n^k)$ 정도에 동작하겠지만, $k = 4$인 경우 $O(n^{3/2})$ 정도에 2차원 자료 구조 등을 활용하여 해결 가능합니다. (Even-Zohar, 2020)
- $k, n$이 큰 경우는 당연히 모두 어렵습니다. $f(k) \cdot n^{o(k / \log k)}$ 정도의 FPT algorithm이 알려져 있습니다.
복잡도가 $n$에만 영향을 받는 경우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우선 단순히 모든 $g$를 열거해보는 $O(\binom{n}{k}) = O(2^n)$ 풀이가 naive입니다.
- $O(1.6181^n)$ 정도가 기존의 최적이었습니다. (Berendsohn 2016)
- 이후 소개할 논문에서는 “간단한” argument로 복잡도를 $O(n \cdot 2^{n / 2})$ 스케일로 개선합니다. (Gawrychowski 2021)
Growth rate measure?
-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하지만, 아직은 순수 수학의 영역으로 보입니다.
Misc.
최근 경시대회에 자주 얼굴을 비춘 “substring pattern match”는 이보다 훨씬 간단한 경우입니다. pattern이 모든 subsequence가 아니라 연속한 구간으로 제한되기 때문인데요, 전혀 다른 풀이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2021 Seoul Regional K. Stock Price Prediction
Counting occurrence solutions
$\sigma \circ g \circ \pi^{-1}$이 증가함수가 되는 $g$를 “occurrence solution”이라고 부르도록 합시다.
앞서 언급하였듯, 단순히 increasing function $g : [k] \to [n]$를 나열하여 occurrence solution인지 체크하는 방법은 최악의 경우 $\binom{n}{k} = O (2^{n})$ 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극단적으로 $\sigma$와 $\pi$가 모두 identity permutation인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다른 접근 방법으로 “$[n]$의 segment decomposition”을 생각합니다. 정의하기에 앞서 간단히 언급하면, 이는 $g \circ \pi^{-1}(1), \cdots, g \circ \pi^{-1}(k)$의 범위에 제약 조건을 걸어주는 $[n]$의 특수한 구간들 $[l _ {i}, r _ {i}]$ ($i = 1, \cdots, k$)입니다.
$g$가 segment decomposition $A = ([l _ {i}, r _ {i}]) _ {i = 1}^{k}$를 respect한다는 것은 각 $i$에 대해 $g \circ \pi^{-1} (i) \in [l _ {i}, r _ {i}]$를 만족한다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이 때 segment decomposition을 잘 정의해서,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요량입니다.
- Segment decomposition $A$에 대해, $A$를 respect하는 occurrence solution의 개수를 $O(n)$ 시간에 셀 수 있다.
- Segment decomposition들의 모임 $\mathcal{S}$를 잘 잡아서, 모든 occurrence solution $g$에 대해 $g$가 respect하는 유일한 segment decomposition $A _ {g} \in \mathcal{S}$가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사실 $\lvert \mathcal{S} \rvert = O(2^{n/2})$이고, 따라서 모든 $A \in \mathcal{S}$에 대해 1번 과정을 수행해주면 전체 시간 $O(n \cdot 2^{n/2})$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Step 1. Segment decomposition & $A$-respecting solutions
Definition. $[n]$의 구간 $k$개 순열 $A = ([l _ {i}, r _ {i}]) _ {i=1}^{k}$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A$를 $[n]$의 segment decomposition이라고 부릅니다.
- $l _ {i} \le r _ {i}$ for $i = 1, \cdots, k$
- $r _ {i} \le l _ {i+1}$ for $i = 1, \cdots, k-1$
즉 $A$의 구간들은 양 끝점에서만 겹칠 수 있습니다. 굳이 $[l _ {i} ,r _ {i}]$들이 $[n]$을 전부 cover할 필요는 없지만, cover하지 않는 경우가 필요하진 않습니다. 가령 $[1, 2], [2, 3], [4, 7], [7, 8]$은 $[8]$의 segment decomposition입니다.
Theorem. $[n]$의 순열 $\sigma$, $[k]$의 순열 $\pi$, $[n]$의 segment decomposition $A$가 주어져 있을 때, $A$를 respect하는 occurrence solution을 $O(n)$에 셀 수 있다.
$A _ {i}$를 $A$의 첫 $i$개 구간으로 정의합시다. 이 때 $D(i, j)$를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increasing function $g^{i} : \pi^{-1}([i]) \to [n]$의 개수로 정의합시다.
- $g^{i}(p) \in [l _ {p}, r _ {p}]$ for all $p = \pi^{-1}(1), \cdots, \pi^{-1}(i)$.
- $\sigma \circ g^{i} \circ \pi^{-1}(i) = j$.
$g^{i} \circ \pi^{-1}(i) \in [l _ {i}, r _ {i}]$이므로, $j \in \sigma[l _ {i}, r _ {i}]$일 때만 $D(i, j) > 0$일 것입니다. 편의상 $\Sigma _ {i} := \sigma[l _ {i}, r _ {i}]$로 쓰겠습니다. 우리가 원하는 답, $A$를 respect하는 occurrence solution의 개수는 $\sum _ {j \in \Sigma _ {k}} D(k, j)$가 될 것입니다.
$D(i, j)$는 동적 계획법으로 채워 줍니다. 관계식은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 $D(0, 0) = 1$, $D(0, j) = 0$
- $\displaystyle D(i, j) = \sum _ {t \in \Sigma _ {i-1} \text {and } t < j} D(i-1, t)$
$[l _ {i}, r _ {i}]$가 최대 한 점에서만 겹칠 수 있기 때문에, $\sigma \circ g^{i-1} \circ \pi^{-1} (i-1) = t$ 값을 기준으로 동적 계획법의 transition 식을 쓸 수 있습니다.
이제 위 알고리즘을 $O(n)$ 시간에 구현해봅시다. $D(i, j)$를 그냥 계산하면 $O(n^{2})$ 정도의 시간이 필요할 겁니다.
$\sum _ {i = 1}^{k} \lvert \Sigma _ {i} \rvert \le n + k - 1$이므로, $\Sigma _ {1}, \cdots, \Sigma _ {k}$의 원소들을 전부 오름차순으로 나열해봅시다. $O(n)$ 시간에 구현하기 위해선 $t \in \Sigma _ {a} \text{ and } t < b$ 꼴의 $t$에 대해 $D(a, t)$ 를 다 합한 값을 관리해야 하는데, 정렬된 배열을 훑으면서 $\sum D(a, \ast)$을 업데이트해주면 됩니다.
Step 2. Even-to-even decomposition family $\mathcal{S}$
이제 적절한 segment decomposition들의 모임 $\mathcal{S}$를 찾아봅시다.
$[n] _ {2}$를 $[n]$의 짝수들의 모임으로 정의하고, $E$를 $[k] _ {2}$에서 $[n] _ {2}$로 가는 increasing function들의 모임으로 정의합시다. 모든 increasing function $f : [k] \to [n]$에 대해, $\tilde{f}(2i) = 2\left\lfloor \frac{f(2i)}{2} \right\rfloor$로 정의하면 $\tilde{f} \in E$가 됩니다.
어떤 $f \in E$에 대해, 대응되는 segment decomposition $S(f)$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시다.
- $l _ {1} = 1$, $l _ {2i} = f(2i)$.
- $r _ {2i} = \min(n, l _ {2i} + 1)$, $l _ {2i+1} = r _ {2i}$.
- $r _ {2i+1} = l _ {2i+2}$ for $2i + 1 < k$, $r _ {k} = n$ if $k$ odd.
어떤 increasing function $h : [k] \to [n]$가 $S(f)$를 respect한다면, 최소한 $h(2i)$는 $\pm 0.5$로 고정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athcal{S} := {S(f) : f \in E}$로 정의하면 $\lvert\mathcal{S}\rvert = \lvert E \rvert$이고, $\lvert E \rvert = \binom{\lfloor n / 2 \rfloor}{\lfloor k / 2 \rfloor} = O(2^{n/2})$입니다. 따라서 아래 정리를 보이기만 하면 $\mathcal{S}$의 모든 원소에 대해 Step 1을 수행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Lemma. 모든 occurrence solution $h : [n] \to [k]$에 대해, $h$가 respect하는 $\mathcal{S}$의 원소가 정확히 하나 존재한다.
Proof. 아래 두 명제를 보이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 위에서 정의된 $\tilde{h}$에 대해, $h$는 $S(\tilde{h})$를 respect한다.
- $h(2i) \in [l _ {2i}, r _ {2i}]$는 자명합니다.
- $l _ {1} \le h(1)$이고, $l _ {2i+1} \le l _ {2i} + 1 = \tilde{h}(2i) + 1 \le h(2i+1)$을 만족합니다.
- $2i + 1=k$이면 $r _ {k} \ge h(2i+1)$이고, 아니라면 $r _ {2i+1} = \tilde{h}(2i+2) \ge h(2i+1)$이 성립하므로, $h(2i+1) \in [l _ {2i+1}, r _ {2i+1}]$을 보일 수 있습니다. $\square$
- $g \neq \tilde{h}$에 대해 $h$는 $S(g)$를 respect하지 않는다.
- $g(2j) \neq \tilde{h}(2j)$라고 두면, 최소한 $\lvert g(2j) - \tilde{h}(2j) \rvert \ge 2$입니다. 따라서 $\lvert{g(2j) - h(2j)}\rvert + \lvert{h(2j) - \tilde{h}(2j)}\rvert \ge 2$가 되는데, $h$가 $S(g)$를 respect하려면 $\lvert g(2j) - h(2j) \rvert = \lvert h(2j) - \tilde{h}(2j) \rvert = 1$인 경우뿐입니다. 이 때 $g(2j) = h(2j) - 1 = \tilde{h}(2j)$일 수 없으니 $g(2j) = h(2j) + 1$이고, 이 경우에 $h(2j) \notin [g(2j), g(2j) +1]$입니다. $\square$
Epilogue. Lower-bound problem
이 접근에서 사뭇 비자명한 부분은 갑자기 even-to-even function의 모임 $E$를 잡더니, 대뜸 $\mathcal{S} = {S _ {g} : g \in E}$를 정의한 것입니다. 우리가 $\mathcal{S}$에게 기대하는 성질은, 고정된 $\sigma, \pi$와 한 occurrence solution $f$에 대해 $f$가 $S \in \mathcal{S}$ respect하는 $S$가 “단 하나” “존재하는” 조건입니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mathcal{S}$를 더 작게 잡을 수 있다면 역시 문제를 $O(n \lvert \mathcal{S} \rvert)$에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요?
논문의 마지막 챕터는 $\sigma = \mathrm{id} _ {n}$, $\pi = \mathrm{id} _ {k}$인 경우에도 $\mathcal{S}$를 크게 잡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P$를 $[\lfloor k / 2 \rfloor] \to [\lfloor (n-1) / 2 \rfloor]$로 가는 increasing function의 모임이라고 두고, $f \in P$에 대해 $g _ {f} : [k] \to [n]$을 $g _ {f}(2i-1) = 2f(i) - 1$, $g _ {f}(2i) = 2f(i)$, $k$가 홀수인 경우에 $g _ {f}(k) = n$으로 정의합시다. 이 때 $Q = {g _ {f} : f \in P}$로 두면 $\lvert Q \rvert = \lvert P \rvert = \binom{\lfloor (n-1) / 2 \rfloor}{\lfloor k / 2 \rfloor}$입니다.
이제 모든 $g _ {f} \in Q$에 대해, 각각이 respect하는 $[n]$의 segment decomposition이 모두 달라야 한다는 사실을 보이면 $\lvert \mathcal{S} \rvert \ge \lvert Q \rvert$가 되고, 사실상 worst case에서 $\lvert \mathcal{S} \rvert = \Omega(2^{n / 2})$가 된다는 것을 보일 수 있습니다. $g _ {f}$가 어떤 $A _ {f} = ([l _ {i}, r _ {i}]) _ {i = 1}^{k}$를 respect한다고 하면, $2f(i) - 1 \le r _ {2i-1} \le l _ {2i} \le 2f(i)$입니다. 따라서 $\lceil r _ {2i-1} / 2\rceil = f(i)$가 성립해야 하고, 이는 곧 모든 $A _ {f}$가 distinct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square$
References
- [Gawrychowski 2022] Gawrychowski, Pawel & Rzepecki, Mateusz. (2022). Faster Exponential Algorithm for Permutation Pattern Matching. Symposium On Simplicity of Algorithm (SOSA 2022), 10.1137/1.9781611977066.21.
- Main 논문입니다. 주저자 Gawrychowski는 이전에 소개한 Global min cut 문제의 SOTA 보유자로도 알려져 있고, 굉장히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
[Even-zohar 2021] Chaim Even-Zohar and Calvin Leng. 2021. Counting small permutation patterns. In Proceedings of the Thirty-Second Annual ACM-SIAM Symposium on Discrete Algorithms (SODA ‘21).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USA, 2288–2302.
- [Marcus 2004] Adam Marcus, Gábor Tardos, 2021. Excluded permutation matrices and the Stanley–Wilf conjecture, Journal of Combinatorial Theory, Series A, Volume 107, Issue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