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p4155's profile image

kjp4155

May 15, 2019 13:00

Atcoder Educational DP contest 풀이

dynamic-programming , editorial

Atcoder에서 열렸던 Educational DP contest 문제들에 대한 풀이입니다. 자주 나오는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유형들을 연습할 수 있는 좋은 셋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제마다 간략한 풀이를 작성했습니다. 코드는 Atcoder에서 자유롭게 열람이 가능하므로 문제마다 링크를 달아두었습니다. 어느정도는 난이도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지만, 사람마다 느끼는 난이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A. Frog 1

문제 링크

$d_i :$ $i$ 번째 Stone까지 도달하는 최소 비용

$d_i = min(d_{i-1} + h_i - h_{i-1} ,\ d_{i-2} + h_i - h_{i-2} )$

위와 같은 점화식으로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쉬운 문제입니다.

코드(링크)

B. Frog 2

문제 링크

위 Frog 1 문제와 거의 비슷하게,

$d_i :$ $i$ 번째 Stone까지 도달하는 최소 비용

$d_i = min( d_{i-k} + h_i - h_{i-k} ) \ (1 \leq k \leq K)$

와 같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코드(링크)

C. Vacation

문제 링크

$ A_i :$ $i$번째 날에 A행동을 했을 때, $i$번째 날까지 얻을 수 있는 최대 happiness

$ B_i :$ $i$번째 날에 B행동을 했을 때, $i$번째 날까지 얻을 수 있는 최대 happiness

$ C_i :$ $i$번째 날에 C행동을 했을 때, $i$번째 날까지 얻을 수 있는 최대 happiness

위와 같이 DP 식을 정의하면, 점화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히 유도됩니다.

$ A_i = max( B_{i-1}, C_{i-1} ) + a_i $

$ B_i = max( C_{i-1}, A_{i-1} ) + b_i $

$ C_i = max( A_{i-1}, B_{i-1} ) + c_i $

위 점화식을 $i$가 커지는 순서에 따라서 채워주면 답은 $max(A_N, B_N, C_N)$ 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코드(링크)

D. Knapsack 1

문제 링크

유명한 냅색 문제입니다.

$d_{i,j} :$ $i$ 번째 item까지 고려했을 때, $j$의 무게만큼 사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value.

라고 정의합시다. 그러면 $i$번째 item을 넣느냐 마느냐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점화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d_{i,j} = max( d_{i-1,j-w_i} + v_i , d_{i-1,j})$

따라서 2차원 배열을 위 점화식에 따라 채우기만 하면 되므로 $O(NW)$ 시간복잡도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코드(링크)

E. Knapsack 2

문제 링크

위 Knapsack 1 문제와 비슷하지만, 이번에는 무게 $W$의 범위가 크고, value $v$의 범위가 작다는 것에 착안해야 합니다. DP 정의를 조금 바꿔서

$d_{i,j} :$ $i$ 번째 item까지 고려했을 때, $j$의 value만큼 얻었을 때 가능한 최소 무게.

라고 정의합시다. 그러면 점화식은 위와 비슷하게 $i$번째 item을 넣느냐 마느냐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d_{i,j} = min( d_{i-1,j-v_i} + w_i , d_{i-1,j})$

이제 위 점화식에 따라서 2차원 DP 배열을 모두 계산한 뒤, DP값이 $W$보다 작은 원소들 중 최대의 $j$를 고르는 것이 답이 됩니다.

Knapsack 1/2 문제처럼 인자의 범위에 따라서 DP 정의를 유동적으로 바꿔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코드(링크)

F. LCS

문제 링크

유명한 LCS 문제입니다.

$d_{i,j} :$ $s$의 $i$번째 문자, $t$의 $j$번째 문자까지 고려했을 때 최대 LCS 길이.

로 정의하면, $s_i$와 $t_j$가 같은지 다른지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점화식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 d_{i,j} = \begin{cases} max(d_{i-1,j},\ d_{i,j-1}) \ max(d_{i-1,j},\ d_{i,j-1},\ d_{i-1,j-1}+1)\ \ (if s_i == t_j) \end{cases} $

이러한 2차원 DP배열을 채우고 나면, 최종적인 LCS길이는 $d_{\lvert s \rvert, \lvert t \rvert}$ 가 될 것입니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답을 역추적해야 되는데, 이는 해당 DP값이 $(i-1,j)$, $(i,j-1)$, $(i-1,j-1)$ 의 세 경우 중 어느 곳에서 왔는지 역으로 따라가면 됩니다. $(i-1,j-1)$의 transition이 발생할 때마다 해당 문자가 선택되었다는 뜻이므로 답에 추가해주면 됩니다.

코드(링크)

G. Longest

문제 링크

$d_i :$ $i$번 노드에서 시작하는 최장 경로 길이.

와 같이 정의한 뒤, Memoization을 이용해 Top Down 방식으로 각 DP값을 계산해 주면 됩니다. Cycle이 존재하지 않음이 보장되어 있으므로 $O(N+M)$ 시간복잡도에 해결이 가능합니다.

코드(링크)

H. Grid 1

문제 링크

$d_{i,j} :$ $(i,j)$위치에 도달할 수 있는 경우의 수.

와 같이 정의하면 DP 점화식은 다음과 같이 자연스럽게 유도됩니다.

$ d_{i,j} = d_{i-1,j} + d_{i,j-1} $ (두 위치 중 벽이 아닌 곳들만 더해주어야 합니다)

이제 이 점화식을 통해 DP table을 $O(NM)$ 시간에 계산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코드(링크)

I. Coins

문제 링크

$d_{i,j} :$ $i$번째 동전까지 고려했을 때, head가 $j$ 개 나올 확률

와 같이 정의합시다. 그러면 각 동전마다 head가 나올 확률이 $p_i$ 이므로 다음과 같은 점화식이 성립합니다.

$d_{i,j} = p_i d_{i-1,j-1} + (1-p_i) d_{i-1,j}$

이 점화식을 이용해 DP table의 값을 모두 계산한 뒤, $d_{N,j}$ 들 중 $j>N-j$ 인 값들을 모두 더해주면 곧 답으로 원하는 확률이 나옵니다.

코드(링크)

J. Sushi

문제 링크

$d_{i,j,k} :$ 초밥이 $1,2,3$ 개 남은 접시가 각각 $i,j,k$개 남아있을 때, 다 먹을때까지 필요한 operation 횟수의 기댓값

와 같이 정의합시다. DP transition은 주사위를 굴렸을 때 나올 수 있는 경우에 따라서 경우를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초밥이 하나도 없는 접시의 번호가 나오는 경우를 생각해 봅시다. 이 경우에는 $d_{i,j,k}$ 의 계산에서 $d_{i,j,k}$를 참조하기 때문에 cycle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초밥이 적어도 하나 있는 접시의 번호가 나올 때까지 주사위를 굴리는 기댓값을 따로 구해주어야 합니다. 이는 Geometric Distribution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원하는 기댓값은 곧 $ \frac {N-(i+j+k)} {i+j+k} $ 이라는 것이 잘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값을 먼저 더해준 뒤, 초밥이 $1,2,3$ 개 남은 접시가 나오는 경우를 처리해주면 됩니다.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은 DP 점화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 d_{i,j,k} = \frac {N-(i+j+k)} {i+j+k} + \frac {i} {i+j+k} d_{i-1,j,k} + \frac {j} {i+j+k} d_{i+1,j-1,k} + \frac {k} {i+j+k} d_{i,j+1,k-1} $

이 점화식에 따라 DP table을 계산해준 뒤 답을 구할 수 있습니다.

코드(링크)

K. Stones

문제 링크

기초적인 게임이론 문제입니다.

$d_i :$ $i$개의 돌로 게임을 시작하면 선공이 이기는가?

와 같이 정의합시다. 만약 $d_{i-k}$ 가 false인 $k \in A$ 가 존재한다면 $d_i$ 는 true가 되고, 이러한 $k$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d_i$는 false가 됩니다.

따라서 $O(NK)$ 시간복잡도로 모든 $d_i$값을 계산해 주면 $d_N$의 값에 따라 답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코드(링크)

L. Deque

문제 링크

Taro의 전략은 $X-Y$를 최대화하는 것이고, Jiro의 전략은 $Y-X$를 최대화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둘 모두 (내 점수)-(상대방 점수) 를 최대화하고 싶어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DP 정의를 생각해 봅시다.

$d_{l,r} :$ $[l…r]$ 구간의 수가 남아있을 때, (내 점수)-(상대 점수)의 최댓값.

위와 같이 정의한 뒤 DP transition을 어떻게 할 수 있을지 생각해 봅시다. 내가 $a_l$을 골랐다면 최종적으로 (내 점수)-(상대 점수)는 $a_l - d_{l+1,r}$ 이 되고, $a_r$을 골랐다면 $a_r - d_{l,r-1}$이 됩니다. 따라서 이 두 값 중 큰 값을 고르는 방식으로 점화식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위 transition으로 DP table을 모두 채우면 $d_{1,N}$이 최종적인 답이 됩니다.

코드(링크)

M. Candies

문제 링크

$d_{i,j} :$ $1,…,i$ 번째 아이들에게 총 $j$개의 사탕을 나누어주는 방법의 수.

로 정의합시다. 그러면 $i$번째 아이에게 사탕을 몇 개 나누어주었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점화식이 성립합니다.

$d_{i,j} = \sum_{k=0}^{a_i} d_{i-1,j-k}$

그런데 이를 naive 하게 계산하면 시간복잡도 $O(NK^2)$으로 충분히 빠르지 못합니다. 여기서 유명한 구간합 테크닉을 사용하면 되는데,

$s_{i,j} = \sum_{k=0}^{K} d_{i,k}$

와 같이 구간합 배열을 정의한 뒤, 이를 사용해서 $d_{i,j} = s_{i-1,j-a_i}$ 와 같이 빠르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간복잡도는 $O(NK)$가 됩니다. 최종적인 답은 $d_{N,K}$가 될 것입니다.

코드(링크)

N. Slimes

문제 링크

파일 합치기 와 완전히 동일한 문제입니다.

$d_{l,r} :$ $l,…,r$ 번째 파일을 하나로 합치는 최소 비용.

으로 정의합시다. $l,…,r$ 번째 파일이 하나로 합쳐지는 과정의 마지막 순간을 생각해 봅시다. 어떤 $k$가 존재해서, $l,…,k$번째 파일들과, $k+1,…,r$번째 파일들이 각각 하나의 파일이 되어있는 상태에서 두 파일이 최종적으로 합쳐질 것입니다. 따라서 모든 가능한 $k$에 대해 시도해보는 것으로 최소 비용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d_{l,r} = \min_{k=l}^{r-1} d_{l,k} + d_{k+1,r}$

위와 같은 점화식을 순서에 맞게 잘 채워주면 최종 답은 $d_{1,N}$ 이 됩니다.

코드(링크)

O. Matching

문제 링크

$N$ 명의 여성들 중, 매칭된 여성들을 비트마스크로 나타낸 집합을 $m$으로 표현합니다. 다음과 같은 DP 정의를 생각합니다.

$d_{i,m} :$ $0…i$번 남성까지 매칭시켰을 때, 매칭된 여성들의 집합이 $m$인 경우의 수.

그러면 $i$번 남성이 어떤 여성과 매칭되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은 DP 점화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d_{i,m} = \sum_{j=0}^{N-1}\begin{cases} d_{i-1, m-(1«j)} \ \ \ \ (j \notin m \& a_{i,j} = 1 ) \ 0 \ (otherwise) \end{cases} $

위 식을 $i, m$이 커지는 순서로 잘 계산해 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O(N^2 2^N)$ 시간복잡도로는 약간의 컷팅이 더 필요할 수 있습니다. 코드를 보시면 한가지 방법이 나와 있습니다.

코드(링크)

P. Independent Set

문제 링크

가장 기본적인 Tree DP 문제입니다.

$d_{x} :$ x를 반드시 색칠할 때, x를 루트로 하는 서브트리를 색칠하는 방법의 수.

$e_{x} :$ x를 반드시 색칠하지 않을 때, x를 루트로 하는 서브트리를 색칠하는 방법의 수.

와 같이 두가지 경우로 나눠서 생각합시다.

$x$가 색칠되면, 바로 밑의 자식들은 반드시 색칠되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x$가 색칠되지 않으면, 바로 밑의 자식들은 색칠되거나, 안되거나 두 경우 모두 가능할 것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점화식이 쉽게 유도됩니다. $E[x]$는 노드 $x$의 자식들의 집합입니다.

$d_x = \displaystyle \prod_{y \in E[x]}^{} e_y $

$e_x = \displaystyle \prod_{y \in E[x]}^{} (d_y + e_y)$

이제 위 값들을 DFS finish time 기준으로 채워 주면 됩니다. 편의상 1번 노드를 루트라고 하면 최종 답은 $d_1 + e_1$이 될 것입니다.

코드(링크)

Q. Flowers

문제 링크

$h_1, h_2, … , h_N$이 주어졌을 때, 증가 부분 수열 중 그 합이 최대가 되도록 고르는 문제입니다.

다음과 같은 DP 정의를 생각해 봅시다.

$d_i :$ $h_i$에서 끝나는 증가 부분 수열 중 최대 합.

그러면 자연스럽게 아래처럼 점화식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d_i = \max_{j=1}^{i-1} d_j + h_i $ $(if h_j \leq h_i)$

그런데 이를 $i$가 증가하는 순서대로 naive하게 계산하면 $O(N^2)$ 시간복잡도로 충분히 빠르지 못합니다.

$h_i$들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뒤, 증가하는 순서대로 본다고 생각해 봅시다. $h_i$가 증가하는 순서대로 보고 있기 때문에, $d_i$를 계산하려면 이미 등장한 수들 중 $i$보다 왼쪽에 있는 수들만 고려하면 될 것입니다. 또한, DP 점화식을 살펴보면 간단한 range max 쿼리 형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그먼트 트리를 이용해 효율적으로 DP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h_i$가 커지는 순서대로 $d_i$를 계산할 때 세그먼트 트리의 range max 쿼리를 이용하고, $d_i$가 계산될 때마다 세그먼트 트리에 값을 update 해주는 방식으로 $O(NlgN)$ 시간복잡도에 모든 DP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최종적인 답은 $d_N$이 될 것입니다.

코드(링크)

R. Walk

문제 링크

$d_{i,k}:$ $i$번 노드에서 끝나는 길이 $k$짜리 경로의 가짓수.

처럼 정의합시다. 다음과 같이 DP transition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d_{i,k} = \sum_{j=1}^{N}\begin{cases} d_{j, k-1} \ \ \ \ (a_{j,i} = 1 ) \ 0 \ (a_{j,i} = 0) \end{cases} $

이 식의 형태를 생각해 봅시다. 길이가 $k$인 $i$에서 끝나는 경로의 가짓수는 결국 길이가 $k-1$인 경로들 중, 마지막 노드에서 $i$로 향하는 edge가 존재하는 것들의 합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행렬을 이용한 형태로 식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begin{bmatrix} d_{1,k} \\ d_{2,k} \\ ... \\ d_{N,k} \\ \end{bmatrix} = \begin{bmatrix} a_{1,1} & a_{1,2} & ... & a_{1,N} \\ a_{2,1} & a_{2,2} & ... & a_{2,N} \\ ... & ... & ... & ... \\ a_{N,1} & a_{N,2} & ... & a_{N,N} \\ \end{bmatrix} \begin{bmatrix} d_{1,k-1} \\ d_{2,k-1} \\ ... \\ d_{N,k-1} \\ \end{bmatrix}\]

따라서 각 $d_{i,K}$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begin{bmatrix} d_{1,K} \\ d_{2,K} \\ ... \\ d_{N,K} \\ \end{bmatrix} = { \begin{bmatrix} a_{1,1} & a_{1,2} & ... & a_{1,N} \\ a_{2,1} & a_{2,2} & ... & a_{2,N} \\ ... & ... & ... & ... \\ a_{N,1} & a_{N,2} & ... & a_{N,N} \\ \end{bmatrix} } ^ {K} \begin{bmatrix} d_{1,0} \\ d_{2,0} \\ ... \\ d_{N,0} \\ \end{bmatrix} = { \begin{bmatrix} a_{1,1} & a_{1,2} & ... & a_{1,N} \\ a_{2,1} & a_{2,2} & ... & a_{2,N} \\ ... & ... & ... & ... \\ a_{N,1} & a_{N,2} & ... & a_{N,N} \\ \end{bmatrix} } ^ {K} \begin{bmatrix} 1 \\ 1 \\ ... \\ 1 \\ \end{bmatrix}\]

이제 거듭제곱을 $O(lg)$시간복잡도에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해 adjacency matrix의 $K$승을 계산해주기만 하면 답을 구할 수 있습니다. 최종적인 시간복잡도는 $O(N^3lgK)$ 가 될 것입니다.

코드(링크)

S. Digit Sum

문제 링크

큰 자릿수부터 순서대로 채워 내려간다고 생각해 봅시다.

$ d_{i,j} :$ $i$번째 자릿수까지 $K$와 일치했고, 자릿수 합을 $D$로 나눈 나머지는 $j$

$ e_{i,j} :$ $i$번째 자릿수 또는 그 이전에서 $K$보다 작아졌고, 자릿수 합을 $D$로 나눈 나머지는 $j$

이제 $i$번째 자릿수에 어떤 수를 채워넣느냐에 따라 DP transition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 d_{i,j} $ 의 경우 반드시 $i$번째 자리에 $K_i$를 넣어야 할 것이고, $e_{i,j}$의 경우에는 $0..9$를 자유롭게 넣을 수 있습니다. 다만 여기서, $i$번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K$보다 작아지는 경우만 잘 고려하면 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DP transition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 d_{i,j} = d_{i-1, j-K_i}$

$ e_{i,j} = \sum_{k=0}^{9} e_{i-1, j-k} + \sum_{k=0}^{K_i-1} d_{i-1, j-k} $

$e_{i,j}$를 계산할 때, 두번째 항이 바로 $i$번째 위치에서 처음으로 $K$보다 작아지는 경우를 처리하는 것입니다. 뺄셈 연산을 할 때 음수가 되는 경우를 주의합시다.

위 식에 따라서 DP값을 모두 계산해 주면 $ d_{|K| , 0 } + e_{|K|, 0} - 1 $이 최종적인 답이 됩니다. 1을 빼주는 이유는 0을 답에서 제외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코드(링크)

T. Permutation

문제 링크

Permutation의 앞 수부터 하나씩 정해간다고 생각해 봅시다. 다만, $ p_1, p_2, …, p_n $을 $ 1, 2, … , n$의 수를 사용해서 만든다고 생각합시다.

$ d_{n,k} :$ $n$번째 수까지 $1, 2,… n$를 이용해 정했고, 마지막 수 $p_n$이 $k$인 방법의 수.

이제 DP transition을 생각하기 위해 $ d_{n,k} $ 를 어떻게 채울 것인가 생각해 봅시다. $ p_1, p_2, … p_{n}$을 $1,2,…,n$을 이용해 만드는 상황입니다. 마지막 수가 $k$라는 것은, $k$를 제외한 나머지 $n-1$개의 수 $1,…,k-1,k+1,…n-1$이 $p_1, p_2, …, p_{n-1}$을 구성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제 이러한 $n-1$개의 수들을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 다시 $1, …, n-1$으로 압축해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첫 $n-1$개의 수를 $1,…,n-1$으로 고정시키고, 추가되는 $n+1$번째 수를 $0.5, 1.5, … n-0.5$처럼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DP transition이 가능합니다.

$$d_{n,k} = \begin{cases} \displaystyle \sum_{i=1}^{k-1} d_{n-1,i} \ \ \ (s_{n-1} \ = \ <) \ \displaystyle \sum_{i=k}^{n-1} d_{n-1,i} \ \ \ (s_{n-1} \ = \ >) \end{cases} $

위 식을 그대로 계산하면 $O(N^3)$이지만, 구간합 배열을 간단히 응용해 $O(N^2)$에 모든 DP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최종적인 답은 $\sum_{i=1}^{N} d_{N,i}$가 될 것입니다.

코드(링크)

U. Grouping

문제 링크

토끼들의 집합 $M$을 비트마스크로 나타낸 것을 소문자 $m$으로 표현합시다.

먼저 다음과 같은 배열을 $O(2^{N}N^2)$ 시간에 계산해 둡시다.

$ s_m :$ 집합 $M$에 해당하는 토끼들이 한 그룹으로 묶였을 때, 그 그룹으로 얻는 점수

이제 다음과 같은 DP 식을 생각합시다.

$ d_m :$ 집합 $M$에 해당하는 토끼들을 잘 나누어서, 최대로 얻을 수 있는 점수

집합 $M$의 임의의 부분집합 $K$를 모두 시도해보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점화식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 d_m = \max_{K \subset M} (d_{m \backslash k} + d_k) $

이를 순서를 잘 정해서 채워주기만 하면 최종적인 답은 $d_{2^N-1}$가 됩니다.

집합 $M$으로 $2^N$개가 가능하고, 각 $d_m$을 채울 때 최대 $2^N$개의 부분집합을 시도해야 해서 총 시간복잡도가 $O(2^{2N})$이 된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부분집합의 개수가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에 훨씬 빠르게 작동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코드(링크)

V. Subtree

문제 링크

문제의 조건은 결국 색칠된 정점들이 하나의 연결된 component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두 DP 정의를 생각합시다.

$ down_x :$ 정점 $x$를 반드시 색칠하고, $x$를 루트로 하는 서브트리를 색칠하는 방법의 수.

$ up_x :$ 정점 $x$를 반드시 색칠하고, $x$의 위쪽 서브트리를 색칠하는 방법의 수.

여기서 $x$의 위쪽 서브트리란, 전체 트리에서 $x$를 루트로 하는 서브트리를 제외한 트리를 말합니다.

위 두 값을 모두 계산해두면, $x$를 반드시 색칠하는 경우의 답은 $ down_x up_x $ 가 됩니다.

두 식은 각각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E[x]$는 $x$의 자식 정점들의 집합이고, $p$는 $x$의 부모 정점입니다.

$ down_x = \displaystyle \prod_{e \in E[x]} (down_e + 1) $

$ up_x = 1 + up_p \times \displaystyle \prod_{e \in E[p] \backslash x} (down_e + 1) $

위 식을 일반적인 tree dp 를 하듯이 계산해 주면 됩니다. $down_x$는 간단한 DFS로 쉽게 계산할 수 있고, $up_x$는 구간 곱 배열을 응용하면 총 $O(N)$시간에 모든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구현방법은 코드를 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DFS를 돌면서 현재 정점의 자식들의 $up$값을 계산해주는 방식으로 구현했습니다.

코드(링크)

W. Intervals

문제 링크

$ d_i : $ string의 $i$번째 글자까지 결정했고, 마지막 $i$번째 글자가 1인 경우의 최대 score.

위와 같은 DP 정의를 생각합시다. $i$번째 글자 직전에 나오는 1의 위치를 $j$라고 생각하면 다음과 같은 점화식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i$번째 위치의 1에 의해 score에 반영해야 하는 구간들의 점수를 더해주는 것입니다.

\[d_i = \displaystyle \max_{j < i} \Biggl( d_j + \sum_{m=1}^M \begin{cases} a_m \ \ (l_m \leq i \leq r_m \& \& !(l_m \leq j \leq r_m) ) \\ 0 \ \ (otherwise) \end{cases} \Biggr)\]

위 식을 그대로 계산하면 $O(NM)$ 시간복잡도가 되어 충분히 빠르지 못합니다.

$d_j$값이 뒤의 $d_i$ 값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 지 생각해 봅시다. $j$보다 이후에 열리고, $i$보다 이후에 닫히는 구간들의 값이 $d_j$에 더해져서 $d_i$에 반영이 되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모든 구간들을 open, close 위치 기준으로 정리해 놓읍시다. index $i$를 하나하나 증가시켜 가면서, $i$위치에서 열리는 구간들의 값을$[1,i-1]$ 구간의 $d_j$값들에 더해 줍시다. 또한 $i$위치에서 닫히는 구간들의 값도 $[1,i-1]$ 구간의 $d_j$값들에 빼 줍니다. 이후 $d_i$를 결정하려면 위 값들이 반영된 $d_1, d_2, … d_{i-1}$ 중 최댓값이 $d_i$가 될 것입니다. Range add / Range max query 를 처리하기 위해 segment tree + lazy propagation을 사용하면 $O((N+M)lgN)$ 시간복잡도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코드(링크)

X. Tower

문제 링크

먼저, 블록들을 어떤 순서로 쌓아야 최적일지 생각해 봅시다. $(w_1, s_1)$속성을 가지는 1번 블록과, $(w_2, s_2)$ 속성을 가지는 2번 블록의 순서를 결정한다고 생각합시다. 1번 블록이 2번 아래에 오는 경우에는 위로 더 쌓을 수 있는 무게가 $s1-w2$입니다. 반대로 2번 블록이 1번 아래에 오는 경우에는 위로 더 쌓을 수 있는 무게가 $s2-w1$입니다. 1번 블록이 아래에 오는 것이 유리하려면 $s1-w2 < s2-w1$부등식을 만족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다시 적어보면, $s1+w1 < s2+w2$가 되는데, 즉 $s_i+w_i$가 작은 블록일수록 아래에 오는 것이 유리하다는 뜻이 됩니다. (이러한 테크닉을 Exchange Arguments Technique 이라고도 합니다.)

위 결과에 따라 모든 블럭을 $s_i+w_i$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시작합시다. 정렬된 순서대로 선택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니, 어떤 블록들을 선택할지만 문제가 됩니다. 이제 다음과 같은 DP 정의를 생각합시다.

$ d_{n,k} :$ $n$번째 블록까지 고려했고, 위로 $k$만큼의 무게를 더 견딜 수 있을 때 최대 value.

이제 $n+1$번째 블록을 선택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은 transition 이 정의됩니다. 이 때 $d_{n,k}$ 기준으로 다음 state에 뿌려주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편합니다.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현이 될 것입니다.

$ d_{n+1,k} \leftarrow d_{n,k} $

$ d_{n+1,k} \leftarrow d_{n,min(s_{n+1},k-w_{n+1})} + v_{n+1} $

$k$의 최대 범위는 $10^4$이므로 무난히 $O(N \times 10^4)$ 시간복잡도로 통과 가능합니다. 최종적인 답은 가능한 $k$들에 대해 $d_{N,k}$들 중 최댓값이 될 것입니다.

코드(링크)

Y. Grid 2

문제 링크

H. Grid 1 문제의 고난이도 버전입니다. $H, W$가 커져서 $O(HW)$시간복잡도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모든 벽을 $(r,c)$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시작합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DP 정의를 생각합시다.

$ d_n :$ 빈칸만 거쳐서 $n$번째 벽에 도달하는 방법의 수. 다시 말해, $n$번째 벽에 도달하는데 그것이 처음으로 만나는 벽인 경로의 수.

벽들을 좌표 순서대로 정렬한 이유는 $n$번째 벽에 도달하기 전에 거쳐올 수 있는 벽들은 반드시 $n$보다 index가 작아지도록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처음으로 만나는 벽이라는 조건 없이 $(r_n, c_n)$에 도달하는 경우의 수는 $ \frac {(r_n+c_n)!} {r_n! c_n!}$ 입니다. 여기서 이전에 이미 벽을 만난 경우를 빼 주면 $d_n$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n$번째 벽 직전에 만난 벽은 어떤 것들일지 생각해 봅시다. 위에서 벽들을 좌표 순서대로 정렬했기 때문에 index $i$는 반드시 $n$보다 작아야 할 것입니다. 또한, $r_i \leq r_n$ 과 $c_i \leq c_n$을 모두 만족해야 할 것입니다. 이 조건들을 만족하는 모든 $i$들에 대해,
$ d_i \frac {(r_n+c_n-r_i-c_i)!} {(r_n-r_i)! (c_n-c_i)!}$ 를 $d_n$에서 빼 주면 됩니다.

DP transition은 이미 충분히 설명했으므로 식을 따로 적진 않겠습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d_n$을 계산하면, 정의대로 모든 경로를 잘 고려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H,W)$에 $N+1$번째 점이 있다고 가정하고 문제를 풀면 $d_{N+1}$이 답이 됩니다.

코드(링크)

Z. Frog 3

문제 링크

아주 유명한 Convex hull trick 문제입니다. Convex hull trick문제와 해결방법에 대해서는 다른 글(링크)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다음과 같은 간단한 DP 정의를 생각합니다.

$ d_i :$ $i$번 stone에 도달하는 최소 비용.

DP transitio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 d_i = \min_{j < i} \Bigl( d_j + (h_i-h_j)^2 + C \Bigr)$

이 식을 조금 변형해 봅시다.

$$ \begin{align}

d_i &= \min_{j < i} \Bigl(d_j + (h_i-h_j)^2 + C \Bigr)
&= \min_{j < i} \Bigl(d_j + h_i^2 + h_j^2 - 2 h_i h_j + C \Bigr)
&= \min_{j < i} \Bigl((-2h_j)h_i + (d_j + h_j^2) \Bigr) + h_i^2 + C

\end{align}$

기울기가 $-2h_j$이고, $y$절편이 $d_j + h_j^2$인 직선이 추가되는 Convex hull trick 문제의 형태로 변형되었습니다.

이제 Convex hull trick을 푸는 다양한 방법들 중 아무 것이나 적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면 됩니다. 이 문제의 경우는 $i$가 커질수록 추가되는 직선의 기울기가 작아진다는 성질을 이용하면 Lichao Tree 등의 자료구조를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코드(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