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nta's profile image

ainta

December 15, 2019 05:30

Cactus graph realization of degree sequence

algorithm , graph-theory , cactus , degree-sequence , ICPC

Degree sequence

그래프에서, Degree sequence란 undirected graph의 각 정점의 차수(degree)를 늘어놓은 수열을 말한다.

Graph realization problem이란, 수열이 주어졌을 때 그 수열을 degree sequence로 갖는 그래프를 실제로 construct하는 문제를 말한다. 여기서 다루는 그래프는 self-loop나 multiedge가 존재하지 않는 simple graph이다.

어떤 Degree sequence가 주어졌을 때, 이를 만족하는 simple graph가 존재할 조건은 Erdos - Gallai theorem 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정리 1 (Erdos - Gallai theorem). $d_1 \ge d_2 \ge … \ge d_n \ge 0$ 가 finite simple graph의 degree sequence일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1 \le k \le n$에 대해 $\sum_{i=1}^{k} d_i \le k(k-1) + \sum_{i=k+1}^n min(d_i, k)$ 가 성립하는 것이다.

이것이 필요조건인 것은 차수가 가장 큰 $k$개 정점과 작은 $n-k$개의 정점으로 나누어 생각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충분조건임을 증명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고, 앞으로 다룰 내용과 큰 관련이 있지 않기 때문에 생략한다.

Degree sequence of Tree

어떤 수열이 주어졌을 때, 이 수열을 degree sequence로 갖는 트리가 존재하는지는 어떻게 판정할 수 있을까?

$d_1, d_2 , … , d_n$이 어떤 트리의 degree sequence일 때, 간선의 개수가 $n-1$개이므로 $d_1 + d_2 +… + d_n = 2(n-1)$임을 쉽게 알 수 있고, connected graph이므로 $n \ge 2$일 때 $d_1, d_2, … , d_n \ge 1$임을 알 수 있다.

정리 2. $n \ge 2$일 때, $d_1, d_2, …, d_n \ge 1$이 tree의 degree sequence일 필요충분조건은 $d_1 +… + d_n = 2(n-1)$ 이다.

필요조건임은 앞서 보였고, 충분조건인 것만 보이면 충분하다. 이는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할 수 있다.

먼저, $n = 2$인 경우는 $d_1 = d_2 = 1$인 한 가지 경우밖에 없으므로 자명하다.

$n = k (k \ge 2)$일 때 성립한다고 하자. $n = k+1$인 경우, $d_1, d_2, .., d_n \ge 2$이면 $d_1+d_2+..+d_n \ge 2n$이 성립해야 하므로 $d_u = 1$인 $u$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n \ge 3$이면 $2(n-1) > n$이므로 $d_v \ge 2$인 $v$가 존재한다.

$d_u$와 $d_v$를 1 감소시키면 $d_u$는 0이 되고 $d_v$는 1 이상이다. 그러면 이를 degree sequence로 가지는 정점이 $n-1$개인 트리를 구성할 수 있다.

그 트리에서 $u$번 정점과 $v$번 정점을 잇는 간선을 추가하면 $d_1, d_2, .., d_n$을 degree sequence로 가지는 트리가 만들어진다. 따라서 $n = k+1$일 때 역시 claim이 성립한다.

위에서 증명에 사용한 방식을 이용하면, $d_1, d_2, …, d_n$이 주어졌을 때 실제로 이를 degree sequence로 가지는 Tree를 $O(N log N)$시간에 construct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남은 차수, 정점번호)를 set으로 관리 후 최소원소와 최대원소를 찾는것을 반복 )

Degree sequence of Cactus

Spoiler warning: NERC(Northern Eurasia Finals 2019)의 문제에 대한 Spoiler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Cactus란, 어떤 edge도 두 개 이상의 simple cycle에 포함되지 않는 undirected connected simple graph를 말한다. Cactus는 트리의 일반화된 형태로, 모든 트리는 cactus이다. 일반적으로 그래프에서 빠른 시간 내에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트리에서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cactus 역시 매우 특이한 형태의 그래프이기 때문에 좋은 성질들을 가진다.

수열 $d_1, d_2 , … , d_n \ge 1$이 주어졌을 때, 이것이 어떤 cactus의 degree sequence가 될 조건은 무엇일까?

Observation 1. 정점의 개수와 간선의 개수의 상관관계

먼저, cactus는 planar graph이기 때문에 edge 개수를 $m$, simple cycle의 개수를 $c$라 하면 ​$n - m + c = 1$이 성립한다(Euler’s characteristic). 여기서 ​$m = \frac{1}{2}\sum_{i=1}^n d_i$이다.

모든 simple cycle은 적어도 3개 이상의 edge로 이루어지고, 어떠한 edge도 둘 이상의 simple cycle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3c \le m$이 성립한다. 따라서, $n = m-c+1 \ge \frac{2}{3}m+1$이 성립한다. 한편, connected graph이므로 $n-1 \le m$인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c = m - (n-1)$에서 $0 \le c \le \frac{n-1}{2}$가 성립한다. 이는 정수이므로 $ 0 \le c \le \lfloor \frac{n-1}{2} \rfloor$라고 할 수 있다.

Observation 2. 모든 차수가 짝수인 경우

보조정리 1. 모든 차수가 짝수인 경우, $ 0 \le c \le \lfloor \frac{n-1}{2} \rfloor$ 는 $d_1, d_2, …,d_n$이 cactus의 degree sequence일 필요충분조건이다.

Proof

$d_1 = d_2 = … = d_n = 2$인 경우, 모든 정점을 지나는 cycle이 된다.

그 외의 경우, $d_u \ge 4$인 $u$가 존재하고, $d_v = d_w = 2$인 서로 다른 정점 $v$, $w$가 존재한다. (그렇지 않으면 $d_1 + … + d_n \ge 4(n-1) + 2$이므로 $m \ge 2(n-1)+1$이고, 따라서 $ c \ge n-1 > \lfloor \frac{n-1}{2} \rfloor$)

이제 $d_u$를 2 감소시키고 $d_v$와 $d_w$를 없앤 수열을 생각하면 이 $n-2$개의 수가 위 조건을 만족함을 알 수 있다.

($n-2$개의 수에 대해 $c$ 값을 계산하면, 모든 차수가 2 이상이므로 $0 \le c$ 이다. 또한, n은 2, m은 3만큼 감소하였으므로 c값은 1 감소하였고, 따라서 $c \le \lfloor \frac{n-3}{2} \rfloor $)

이를 만족하는 cactus를 구성한 뒤 $u, v, w$ 를 지나는 크기 3인 cycle을 추가하면 $d_1, d_2,…, d_n$을 degree sequence로 가지는 cactus가 나온다.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한 증명)

Observation 3. 홀수차수 정점이 있는 경우

그래프에서, 어떤 edge를 제거하면 component의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 그 edge를 bridge라고 한다. 트리의 경우 모든 edge가 bridge인 특수한 형태이다.

degree가 홀수인 정점을 odd vertex, 짝수인 정점을 even vertex라 하자.

또한, 트리의 leaf를 일반화해서 connected graph에서도 차수가 1인 정점을 leaf라 부르기로 하자.

bridge의 개수를 $b$, leaf의 개수를 $l$, odd vertex의 개수를 $o$라 놓자.

$n \ge 3$인 Cactus에서, leaf끼리는 edge로 연결되서는 안되고, odd vertex는 적어도 하나의 cycle에 포함되지 않은 edge와 인접하므로 $b \ge max(\frac{o}{2}, l)$이 성립한다.

한편, bridge는 어느 cycle에도 포함되지 않는 간선들이므로 $ 3c \le m-b$이고, 여기에서 $3(m-n+1) \le m - b$ , 즉 $2(m-n+1) \le n-b-1$에서 $c \le \lfloor \frac{n-1-b}{2} \rfloor$가 성립한다.

따라서, $c \le \lfloor \frac{n-1-max(\frac{o}{2}, l)}{2} \rfloor$이다.

정리 3. $n \ge 3$일 때, $0 \le c \le \lfloor \frac{n-1-max(\frac{o}{2}, l)}{2} \rfloor$은 주어진 sequence가 cactus의 degree sequence일 필요충분 조건이다.

Proof

이는 보조정리 1의 증명과 비슷하게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construction할 수 있다.

odd vertex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보조정리 2에 의해 성립한다. odd vertex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먼저, leaf $u$가 존재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만약 leaf가 아닌 odd vertex $v$가 존재한다면, 둘을 연결하고 $u$ 를 지워보자. 그러면 $max(\frac{o}{2}, l)$이 1 감소하므로, 남은 $n-1$개 정점의 degree가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모든 odd vertex가 leaf라면, leaf가 아닌 정점 $w$를 선택해 $w$와 $u$를 연결하고 $w$를 지워보자. $o = l$이므로 $max(\frac{o}{2}, l)$가 역시 1 감소하고, 따라서 남은 $n-1$개 정점의 degree가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leaf가 존재하지 않지만 odd vertex는 존재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d_u \ge 3$인 $u$가 존재하고, $d_v = d_w = 2$인 서로 다른 정점 $v$, $w$가 존재한다.

$u, v, w$를 잇는 cycle을 만들고 $v, w$를 지워보자. $c$는 1 감소하지만 $d_u$를 제외하고는 모두 2 이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c$는 0보다 작아지지 않는다.

한편, $\lfloor \frac{n-1-max(\frac{o}{2}, l)}{2} \rfloor$ 은 최대 1만큼 감소하므로 $0 \le c \le \lfloor \frac{n-1-max(\frac{o}{2}, l)}{2} \rfloor$는 여전히 성립하게 된다.

cactus의 한 정점에 새로운 leaf를 붙이거나, 새로운 정점 두 개를 포함하는 크기 3인 cycle을 붙이면 여전히 cactus이므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본 정리가 증명된다.

다음은 수열이 주어질 때 그 수열을 degree sequence로 가지는 cactus가 있으면 답을 찾아 출력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1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NERC 2019 C.Cactus Revenge)

시간복잡도는 $O(N^2)$ 이지만 $O(N log N)$으로 어렵지 않게 개선할 수 있다.

    #include<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typedef long long ll;
    typedef pair<int, int> pii;
    typedef pair<ll, ll> pll;
    #define pb push_back
    #define pli pair<long long,int>
        
    #define Fi first
    #define Se second
        
    struct point {
        int a, c; // vertex number a, degree c
        bool operator <(const point &p)const {
            return c < p.c;
        }
    };
     
    vector<pii>Ans;
    void Add(int a, int b) {
        Ans.push_back({ a,b });
    }
     
    bool OK(vector<point>w){ // Is it valid degree sequence of Cactus?
        if(w.empty())return true;
        sort(w.begin(),w.end());
        reverse(w.begin(),w.end());
        int i, n = w.size(), m = 0, o = 0, l = 0;
        for(i=0;i<w.size();i++){
            m+=w[i].c;
            if(w[i].c%2)o++;
            if(w[i].c==1)l++;
            if(w[i].c<=0)return false;
        }
        if(m%2==1)return false;
        m/=2;
        int c = m-n+1;
        if(c<0)return false;
        if(c>(n-1)/2)return false;
        if(n==2){
            Add(w[0].a,w[1].a);
            return true;
        }
        if(w[0].c==2 && w[n-1].c == 2){
            for(i=0;i<n;i++) Add(w[i].a,w[(i+1)%n].a);
            return true;
        }
        int b = max(o/2,l);
        if(c>(n-1-b)/2)return false;
        if(l){
            int u = w[n-1].a;
            for(i=0;i<n;i++){
                if(w[i].c%2==1 && w[i].c!=1){
                    w[i].c--;
                    Add(w[i].a,u);
                    w.pop_back();
                    OK(w);
                    return true;
                }
            }
            Add(w[0].a, u);
            w[0].c--;
            w.pop_back();
            OK(w);
            return true;
        }
        int x = w[0].a, y = w[n-2].a, z = w[n-1].a;
        Add(x,y);Add(y,z);Add(z,x);
        w.pop_back();
        w.pop_back();
        w[0].c-=2;
        OK(w);
        return true;
    }
     
    int main() {
        int i, n;
        scanf("%d", &n);
        vector<point>w(n);
        for (i = 0; i < n; i++) {
            scanf("%d", &w[i].c);
            w[i].a = i+1;
        }
        if (!OK(w)) {
            puts("-1");
            return 0;
        }
     
        printf("%d\n", Ans.size());
        for (auto &t : Ans) {
            printf("2 %d %d\n", t.first, t.second);
        }
    }

More

트리의 degree sequence realization을 구현했다면

KTU Programming Camp Day 2 D(https://codeforces.com/gym/100738/problem/D)에서 채점해볼 수 있다.

지금은 무방향 그래프에 대해서 다뤘지만, 이와 관련된 주제로

directed complete graph인 tournament graph에서의 score sequence가 있다.

이는 $n$개의 팀이 있을 때 모든 팀 쌍이 한번씩 경기를 한 후, 각 팀의 승리 횟수를 나열한 수열로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문제로는 2016 ICPC 대전 리저널 C. 축구 게임(https://www.acmicpc.net/problem/13560)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