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sung Software Membership
    • BLOG
    • ABOUT US

    S/W 멤버십 기술 블로그

    • zych1751's profile image

      zych1751

      July 21, 2019

      Google Test와 gcov 소개

      이 글에서는 Google Test를 이용하여 간단한 c++ 유닛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보고 이후 gcov를 이용하여 코드 커버리지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유닛 테스트란? 유닛 테스트는 특정 모듈(함수 or 특정 코드)이 내가 원하는 바 대로 정확히 작동하는지 검증하는 절차입니다. 즉, 모든 함수와 메소드에 대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우리는 이를 자동화하고 반복할 수 있게 하여 코드가 수정되어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이를 빠르게 찾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해주고, 유닛 테스트를 통과했다면 해당 모듈이 잘 작동하고 있음을 확신하고...

      C++ test-coverage

    • taeguk's profile image

      taeguk

      July 21, 2019

      SHA-256 구현

      안녕하세요. 오늘은 SHA-256 알고리즘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려고 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SHA-256 의 수학적인 원리나 구현 최적화 기법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습니다. 설명을 위해 최소한으로 작성한 C++ 코드를 통해 SHA-256 의 내부 로직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가볍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 글을 좀 더 좋은 가독성으로 읽기 « SHA-256 이란? 해시 함수중에 하나로서, 해시의 결과가 256bit 입니다. SHA 해시 함수 모음에 속하고 대중적으로 널리쓰이는 해시 함수중에 하나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비트코인을 비롯한 많은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SHA-256 을 주로...

      SHA256 SHA hash C++

    • zigui_ps's profile image

      zigui_ps

      July 21, 2019

      Kudeki Chain과 CUDA Programming

      목차 개요 Data Parallelism GPU 구조 Kudeki Chain 문제 설명 CUDA 프로그래밍 방법 최종 코드 마무리 참고 자료 개요 몇 달 전에 Kudeki Chain이라는 문제를 GPU를 사용해서 풀어보았다. 풀이를 간략하게 정리해서 개인 블로그에 포스팅을 했는데, 생각보다 GPU에 관심있는 독자가 많았다. 그래서 이번에는 GPU와 CUDA 프로그래밍에 대해 포스팅을 작성하여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Data Parallelism Data Parallelism은 다른 데이터들에 대해 동일한 연산을 한 번에 계산하여 프로그램의 실행 시간을 줄이는 방법이다. 배열 A와 B를 더하고, 그 결과를 배열...

    • djm03178's profile image

      djm03178

      July 21, 2019

      Python의 큰 정수 표현법 2 - 사칙연산

      개요 지난 글에 이어, 이번 글에서는 Python의 int가 실제로 여러 가지 연산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파헤쳐 보겠습니다. 이전에 살펴본 것처럼 Python은 큰 정수를 표현하기 위해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배열을 사용하고, 배열의 각 원소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0$ 이상 $2^{30}-1$ 이하의 값을 가집니다. $i$번째 원소를 $i$제곱하여 더한 값이 그 int가 나타내는 실제 값이라고 했었습니다. 당연하지만 CPU가 이런 구조에 대한 직접적인 연산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한 연산, 비교 연산이나 사칙연산조차도 CPU가 계산할 수 있는 단위까지 쪼개어...

      big-integer Python

    • koosaga's profile image

      koosaga

      July 21, 2019

      2019 한국정보올림피아드(KOI) 중/고등부 문제 풀이

      2019 한국정보올림피아드(KOI) 중/고등부 문제 풀이 중등부 1번. 신기한 수 Subtask 2 (100점) 숫자 $N$ 이 주어지면, 해당 수의 일의 자리에 적힌 수는 $N \mod 10$ 이 된다. 이후 숫자를 10으로 나눠주면, 십의 자리, 백의 자리… 에 있던 수들이 모두 일의 자리, 십의 자리로 움직인다. 고로, 이를 반복하면 $O(\log N)$ (입력에서는 최대 8번) 의 단순 연산으로 $N$의 자릿수 합을 알 수 있다. 어떠한 수 $A$ 가 어떠한 수 $B$ 로 나누어 떨어지는 것은, $A$ 를 $B$...

      competitive-programming

    • Previous Page
    • 114
    • 115
    • 116
    • 117
    • 118
    • Next Page
    • github
    • facebook
    • instagram
    • youtube
    • S/W Membership

    Copyright © SAMSUNG SOFTWARE MEMBERSHI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