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ICPC Seoul Regional
2022 ICPC Seoul Regional ICPC 서울 리저널 측이 공식 풀이를 제공하지 않아서 2020년부터 ICPC 리저널의 비공식 풀이를 작성하고 있다. 이번에도 그 때와 같이 2022 ICPC Seoul Regional의 문제를 풀어보는 시간을 가진다. 올해 문제의 난이도는 작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꽤 어려운 편에 속한다. 체감상은 작년보다도 약간 더 어려운 느낌인데, 스코어보드로는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참가 팀의 수준이 높아졌다고 느꼈다. 일부 문제들은 구현했으며, Github 에 icpc22_ 로 시작하는 이름으로 AC 코드를 업로드하였다. 문제 풀이 한 줄 요약 A:...
-
Pairing 제대로 알아보기
자료: Pairings For Beginners Introduction 이 글에서는 여러 암호학의 분야에서 자주 등장하는 Elliptic Curve Pairing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독자 대상은 현대대수학 기본 Elliptic Curve 연산에 대한 기초지식 Elliptic Curve를 기반으로 한 Cryptography에 대한 기초지식 Pairing을 기반으로 한 Cryptography에 대한 기초지식 이 있는 분들입니다. 즉, 이 글에서는 Pairing이 왜 쓸모있는지, 어떻게 사용되는지는 다루지 않고, Pairing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효율적으로 계산되는지 다룹니다. 최대한 증명을 포함하려고 하나, 지나치게 증명이 어려운 경우에는 따로 알아두면 좋은 사실로 빼겠습니다. A Look at...
-
Sequence model: from RNN to Attention
Introduction Sequence model은 연속적인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서 연속적인 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델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시계열 데이터를 다루는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Sequence model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task로는 번역, 챗봇, 동영상 생성 등등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장 기초적인 Sequence model인 RNN부터 요즘 모든 딥러닝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인 Attention까지 발전 흐름을 따라 알아보고자 합니다. RNN overview RNN (Recurrent Neural Network)은 서로 독립적인 데이터가 아닌 연속적인 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신경망입니다. 연속적인 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라고도 하는데, 주가, 음성, 대화,...
-
WaveBound: Dynamic Error Bounds for Stable Time Series Forecasting (NeurIPS'22) 눈문 소개
올해 11월 말에 열릴 머신러닝 학회인 NeurIPS 2022에 제가 제출했던 논문 “WaveBound: Dynamic Error Bounds for Stable Time Series Forecasting”이 어셉되어서 리뷰하고자 합니다. 소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라고 부릅니다. 시계열 예측은 과거 시계열 데이터로부터 미래를 예측하는 테스크로 교통 속도 예측, 에너지 사용량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을 받아왔습니다. 최근에는 Informer, Autoformer와 같은 딥러닝 기반 시계열 예측 모델이 주목받았지만 본 연구에서 이러한 모델은 여전히 과적합에 취약함을 보여주었습니다. 기존 딥러닝 모델의 과적합...
-
Unique Games Conjecture
본인은 최근 들어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분야 중에서도 Computational Hardness에 관련한 결과들을 다루는 스터디에 참여하고 있고, Unique Games Conjecture와 관련하여 발표할 일이 있었다. 나름 의미가 있는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한 국문 자료는 (본인이 검색해본 한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어서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이 글은 Unique Games Conjecture가 무엇이고, 이를 통해 어떤 결과들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Unique Games Conjecture에서 어떤 형태로 reduction을 구성할 수 있는지 그 느낌 또한 전달하는 것...